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연말정산 기초 의미와 종류를 이해하고 준비하자

by 일리일리-OxO 2022. 10. 22.

근로자라면 일 년에 한 번씩 해야 하는 연말정산에 대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관심은 있지만 단어가 익숙하지 않아 계산이 어려워서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분들은 이번 편에서 연말정산 기초부터 익히고 준비과정으로 넘어가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연말정산
  • 연말정산의 종류
  • 맺음말

 

연말정산

국세청에서 정해 놓은 임시 기준(간이 세액 표)에 따라 근로자들에게 1년 동안 세금을 걷어 드렸는데 연말에 정해 놓은 임시 기준을 확정하고 실 소득보다 많은 세금을 냈으면 그만큼 돌려받고 세금을 적게 냈으면 그만큼 추가로 세금을 걷어 드리는 절차를 이야기합니다.

 

연말정산의 종류

연말정산의 종류에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공제의 한도와 공제율, 대상은 매 해 조금씩 변화가 있습니다. 큰 의미를 알아 두시면 매 해 변경된 부분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의미와 대상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년 동안 벌어 들인 소득을 공제한 만큼 낮춰 준다는 얘기입니다. 소득공제를 많이 받게 되면 총급여가 줄어들고 과세표준 구간이 낮아지며 낮아진 만큼 세금도 적게 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소득공제 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적공제
  • 국민연금
  • 건강보험료
  • 주택마련 저축 및 전세 원리금
  • 신용카드(체크카드, 현금 포함)
  • 추가 소득공제(도서·공연, 전통시장, 대중교통) 등

 

과세표준(만원) 세율
~ 1,400 6%
~ 5,000 15%
~ 8,800 24%
~ 15,000 35%
~ 30,000 38%
~ 50,000 40%
~ 100,000 42%
~ 45%

 

연말정산 계산 과정은 근로자의 총급여에서 소득공제 한 부분을 빼면 근로 소득 금액이 나오고 이 금액을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에 대입하여 자신의 실제 소득 구간 및 세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계산된 금액을 산출세액이라고 합니다.

참고1. 연말정산 계산 과정 : 산출세액 - 세액공제

 

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액공제는 이미 산정된 세금을 차감 또는 환급해 주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세금을 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연말정산 환급금 체감 효과가 좋습니다. 대상이 다양한데 대부분 별도의 자료 제출을 해야 합니다. 그럼 세액공제 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월세
  • 교육비
  • 의료비
  • 기부금
  • 연금 저축 또는 개인형 퇴직연금 IRP

 

맺음말

연말정산의 의미와 대상인 소득공제 세액공제 대해 기초적인 부분을 알았다면 공제 기준과 사전 준비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봐야 합니다. 소득공제세액공제 각각 사전 준비 과정이 정리되어 있으니 추가적으로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이전에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대해 놓친 부분이 있다면 5년 전까지 홈텍스에서 경정청구를 통해 자료 제출하고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노력한 만큼 연말정산 때 환급금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끝까지 확인하시고 매 해 현명한 지출을 통해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습관을 만드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