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요 생활 정보

대표 노후준비 국민연금 배경 및 가입 대상 예상 수령액 확인

by 일리일리-OxO 2022. 11. 7.

근로 생활을 하면서 자산을 조금씩 축적해 나가고 있는데 국민연금 고갈이라는 뉴스를 접하게 되면서 노후에 대한 걱정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노후 대비를 국민연금에만 의존하고 있던 것은 아니지만 대표 노후 준비 연금인 국민연금부터 확인 후 추가적인 설계를 세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민연금 배경
  • 가입 대상 및 기준
  • 납부 기간 및 예상 수령 금액
  • 국민연금 외 추가 연금 가입이 필요한 이유

 

국민연금 배경

국가에서 관리 운영하는 연금 제도로, 대한민국 국민이 소득 활동을 하면 소득 중 일정 비율로 보험료를 납부하고,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연금 수령 나이가 되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로 더 이상의 소득활동이 불가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 지급을 통해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1988년부터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금으로 가입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고, 금융회사 등에 비해 관리 운영비를 국가에서 상당 부분 지원합니다.

 

가입 대상 및 기준

가입 대상 및 기준입니다.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 또는 국민연금 가입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과 국내 거주 외국인 모두 의무 가입해야 합니다. 또한, 가입 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4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 사업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임의 가입자
  • 임의 계속 가입자

 

사업장 가입자입니다. 국민연금에 가입된 사업장에서 근로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근로자가 대상입니다.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장은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직원 채용 시 사업장 가입자로 등록 신고를 해야 합니다.

 

지역 가입자 입니다. 사업장 가입자와 연령 기준은 동일하고, 사업장 가입자가 아닌 경우 지역 가입자입니다. 단,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중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또는 보장시설 수급자, 비 소득활동에 종사하는 사업장 가입자 등의 배우자 및 보험료를 납부한 사실이 없고, 소득 활동을 하지 않는 27세 미만 등은 지역 가입자가 될 수 없습니다.

 

임의 가입자입니다. 사업장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가 될 수 없는 사람이지만 60세 이전에 본인이 가입을 희망하여 신청하는 경우의 사람을 임의 가입자라고 합니다. 가입이 불가능한 경우는 지역 가입자에서 얘기한 부분과 동일합니다.

 

임의 계속 가입자입니다. 납부 내역이 있는 가입자가 의무 가입기간이 부족하여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연금수령 시기를 추후로 늦추고 싶을 때 신청하여 임의계속 가입자가 될 수 있습니다.

 

납부 기간 및 예상 수령 금액

국민연금은 10년 이상 가입해야 하고, 질병이나 사망 같은 특별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60세부터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연금 예상 금액을 알아보고 싶다면 국민연금 홈페이지 내 연금 알아보기 에서 본인 인증 후 확인 또는 콜 센터 1355로 전화 문의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외 추가 연금 가입이 필요한 이유

국민연금은 특별한 사고나 사망 같은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고, 연금 수령 나이가 되어 지급받는 노령 연금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나이를 먹고 생활비로 사용하게 될 국민연금을 조회해 보면 생각보다 금액이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국민연금 고갈이라는 불안함도 큰 상황에서 국민연금공단은 연금 수령 나이를 조기 수령 또는 연기 수령 신청도 받고 연기 수령을 할 경우 세금 감면 비율이 높아지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국민연금 고갈이 두렵기 때문에 연기 신청도 쉽지 않습니다. 타 국가를 살펴봐도 우리나라보다 심하거나, 비슷한 상황인 나라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100세 시대에 인구 감소는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국민연금 하나에만 노후를 의지 한다는 건 노후 준비가 미흡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추가적인 노후 준비를 해야 하고, 연금을 통한 노후 준비는 국가에서도 혜택을 제공하는 금융기관의 연금저축 또는 개인형 퇴직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